정법강의

순차강의

최신강의

9999강 [100세 인생_70대 편] 인류가 큰 사람으로 거듭나는 길

9998강 [100세 인생_70대 편] 존엄사법

9997강 [100세 인생_70대 편] 죽음을 느끼는 방법

9996강 [100세 인생_70대 편] 노노(老老) 상속

9995강 [Well-being 100세] 자서전 쓰기

9994강 [Well-being 100세] 죽기 전, 온라인 콘텐츠 정리

강의 목록

매거진타입매거진타입 기본타입기본타입 갤러리타입갤러리타입
긴급재난지원금은 사실 국민들의 세금으로 주고 있습니다. 물론 스승님께서 그 돈으로 어려운 국민들을 다시 살펴보고 하나 되는 이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이면에 결국 제 살 뜯어 먹기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이것이 각 개인 간 부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돈을 세금으로 이어나가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듭니다.
정부에서 전 국민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주고 있는데 막상 지급하다 보니 다양한 문제점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기준이 주민등록 세대를 기준으로 한 건강보험의 피부양자 개념을 적용하여 지급하다 보니 웃지 못할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혼이나 별거 가정, 혼외자식을 비롯한 교도소 재소자와 해외거주자까지 다양한 사례로 인해서 지급 기준이 복잡하다 보니 가족 구성원 간의 잠재되어 있던 갈등이 지원금으로 인해서 표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다른 돈도 아닌 세금으로 주는 공금인 재난지원금으로 인하여 가족 간의 갈등이 일어나는 현 세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했는데 5월에는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고 어린이날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고 봄 날씨를 맞이해서 이렇게 가정이라는 달로 시작하는 것 같은데 선배님들은 달을 정할 때 왜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해서 어떤 의미를 가져가고자 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고 그러면 우리는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면서 맞이하고 5월이라는 달을 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했는데 5월에는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고 어린이날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고 봄 날씨를 맞이해서 이렇게 가정이라는 달로 시작하는 것 같은데 선배님들은 달을 정할 때 왜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해서 어떤 의미를 가져가고자 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고 그러면 우리는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면서 맞이하고 5월이라는 달을 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했는데 5월에는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고 어린이날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고 봄 날씨를 맞이해서 이렇게 가정이라는 달로 시작하는 것 같은데 선배님들은 달을 정할 때 왜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해서 어떤 의미를 가져가고자 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고 그러면 우리는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면서 맞이하고 5월이라는 달을 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했는데 5월에는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고 어린이날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고 봄 날씨를 맞이해서 이렇게 가정이라는 달로 시작하는 것 같은데 선배님들은 달을 정할 때 왜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해서 어떤 의미를 가져가고자 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고 그러면 우리는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면서 맞이하고 5월이라는 달을 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했는데 5월에는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고 어린이날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고 봄 날씨를 맞이해서 이렇게 가정이라는 달로 시작하는 것 같은데 선배님들은 달을 정할 때 왜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해서 어떤 의미를 가져가고자 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고 그러면 우리는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면서 맞이하고 5월이라는 달을 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했는데 5월에는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고 어린이날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고 봄 날씨를 맞이해서 이렇게 가정이라는 달로 시작하는 것 같은데 선배님들은 달을 정할 때 왜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해서 어떤 의미를 가져가고자 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겼고 그러면 우리는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면서 맞이하고 5월이라는 달을 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제가 초등학교 2~3학년 정도로 기억되는데 새벽에 우연히 눈이 떠져서 잠을 깨보니 검은색 갓을 쓰고 검은 두루마기를 입은 저승사자가 우리 집 윗목에 앉아있었습니다. 그 모습만 보아도 풍채가 어마어마해서 키가 2m는 넘어 보였습니다. 잠시 후 저는 무서워서 이불 속으로 얼굴을 묻고 다시 잠이 들었습니다. 그 시절 즈음 우리 집에는 아무도 돌아가신 분이 없었습니다. 저승사자가 우리 집에 온 이유가 무엇이며 저승사자의 모습으로 온 존재는 실제로 누구입니까? 그리고 제가 그 시각 잠을 깨서 저승사자를 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스승님의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홍익이념의 구체적 의미에 대해서 질문 올립니다. 대한민국 교육법 1조에도 홍익이념의 구체적인 의미는 나오지 않고 단순히 '홍익이념을 바탕으로 한'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한다거나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말들이 신문이나 방송에서 혼용되어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 요즈음 트랜드로 '널리 이롭게'라는 표현이 카피로 많이 쓰이면서 '개들도 널리 이롭게'라면서 애완견 커뮤니티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홍익이념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서 질문 올립니다.
홍익이념의 구체적 의미에 대해서 질문 올립니다. 대한민국 교육법 1조에도 홍익이념의 구체적인 의미는 나오지 않고 단순히 '홍익이념을 바탕으로 한'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한다거나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말들이 신문이나 방송에서 혼용되어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 요즈음 트랜드로 '널리 이롭게'라는 표현이 카피로 많이 쓰이면서 '개들도 널리 이롭게'라면서 애완견 커뮤니티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홍익이념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서 질문 올립니다.
불교도 교회도 마찬가지인데 의식 있는 목회자나 스님이 계시기는 하는데 그분들이 기존 종단에서 다르게 행하면 왕따 비슷하게 굉장히 제재도 많이 합니다. 예를 들면 스님이나 목사님들이 정법 공부를 하면서 본인들이 이쪽 길이 바르다고 생각할 때 그 종단에서는 사실 버티기가 쉽지는 않아요. 그렇다면 그런 분들은 종단을 나와서 무쏘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불교의 말이 있듯이 그렇게 가지고 가는 것이 더 좋은지 그 종단과 합의해 가면서 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귀신을 불러들이거나 조상에게 기도해서 내가 잘된다는 기복신앙 차원이 아니라 지식인 불교 그룹들의 논리를 보면 대승실천불교를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원효의 화쟁 사상을 이야기하면서 모순과 대립을 통합해내는 그런 논리를 이야기하는 대승불교론 자들이 우리 사회에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무엇이 문제이길래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불교 행사의 가장 중요한 행사가 초파일 행사인데 각 종단은 초파일 행사비가 어쨌든 국민들의 기부금인데 그것을 어떤 비율로 운영에 몇 %를 쓰고 그 나머지는 또 몇 %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불교 행사의 가장 중요한 행사가 초파일 행사인데 각 종단은 초파일 행사비가 어쨌든 국민들의 기부금인데 그것을 어떤 비율로 운영에 몇 %를 쓰고 그 나머지는 또 몇 %가 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