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강의

순차강의

최신강의

9999강 [100세 인생_70대 편] 인류가 큰 사람으로 거듭나는 길

9998강 [100세 인생_70대 편] 존엄사법

9997강 [100세 인생_70대 편] 죽음을 느끼는 방법

9996강 [100세 인생_70대 편] 노노(老老) 상속

9995강 [Well-being 100세] 자서전 쓰기

9994강 [Well-being 100세] 죽기 전, 온라인 콘텐츠 정리

강의 목록

매거진타입매거진타입 기본타입기본타입 갤러리타입갤러리타입
최근 스승님께서 태권도 관련해서 중요성을 말씀하셨는데 영유아기 때 이 태권도를 어떻게 접목해서 교육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좀 더 지나서 태권도 교육이 시작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소질에 대해서 질문드리겠습니다. 요즘에는 아이들의 소질 계발을 위해서 학부모들이 어릴 때부터 태권도, 피아노, 수영 등 다양한 학과 외의 활동들을 많이 시키는데 스승님께서 태교에 관해서 풀어주실 때 소질형성은 태교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하셔서 소질을 교육하고 하는데 태교에서는 어떤 방향으로 하고 영유아기에서는 이것을 어떤 방향으로 교육하면 좋을지 질문드립니다.
연예인이나 일반인들도 0세부터 8세 사이의 아이들을 유튜브에 내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튜브에서 아이들이 하는 말 같은 것들을 편집해서 올리면 그것이 바로 인민재판에 들어갑니다. 최근에도 어떤 연예인 아이들이 미모에 관심이 많아서 "나, 다이어트 해야 해"라는 이야기를 했는데 사람들이 "어떻게 부모가 저렇게 어린아이들인데 저런 말을 하도록 키웠나?"라면서 바로 비난이 들어갔고 그 영상들이 하루 만에 비공개처리 된 일이 있었습니다. 비슷한 일들이 최근에 많이 일어납니다. 요즘 같은 유튜브 시대에 어린아이들이 유튜브로 공개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여쭙겠습니다.
어린아이들을 영어 센터에서 교육하는 분들이 올린 글을 봤는데 부모가 의사이던지 기자라던지 전문직인데 요즘에는 아이들을 한 둘씩 키우다 보니까 개인적인 성향에 있어서 수업에 와서 서로 인사도 하지 않고 이야기도 잘 안 하고 서로 빌려주거나 빌리지도 않고 자기 것만 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하는데 아이들이 어릴 때 사회성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스승님께서 법문해주시기를 3세까지는 영아가 기억이 없고 환경을 모두 흡수한다고 했는데 그러면 흡수한 환경을 좋게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영아가 가장 일차적으로 관계하고 만나는 사람이 엄마와 아빠인데 3세 안에 키울 때 엄마와 아빠의 역할에 대해서 풀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요즘에는 육아휴직을 해서 아빠들도 육아에 많이 참여해서 아이들 목욕도 시키고 하는데 가정 내에서의 엄마, 아빠의 역할에 대해서 여쭙습니다.
0세부터 3세까지는 부모가 밖에 꺼내놓고 키우는 시기이고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환경적으로 부부가 모두 사회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아 전담어린이집이라고 해서 0세~3세까지를 어린이집이라는 환경에 보내서 키우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시별로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 교육하는 곳에 여러 가지 혜택을 주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회사, 공기업, 공무원에게 육아휴직 제도가 있습니다. 자녀 한 명당 1년씩 할 수 있는데 만약에 말씀하신 데로 0세에서 3세까지 부모의 역할이 크다고 한다면 혹시 이 육아휴직 제도를 개선해서 3년간은 부모에게 그 권리를 줄 수 있는 것을 만들면 어떤지 궁금합니다.
아기가 태어나면 어떤 부모들은 육아일기를 기록하고 아이를 키우면서 느꼈던 것을 쓰는데 제가 육아일기를 보다 보니까 굉장히 중요할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0세~3세까지 아이가 기억을 못 한다고 하면 그 기간에 일어났던 부분을 나중에 커서 부모님이 적어놓은 것을 봤을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때 만약 육아일기를 나중에 아이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한다면 그 기간 대에 부모들이 어떤 관점으로 아이를 보고 관찰하고 느낀 점을 어떤 식으로 써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영·유아기 교육 방법에 대해서 유튜브에 많이 나옵니다. 크게는 애정과 통제를 적절히 섞어서 해야 아이가 세상을 살아나가는 규칙에도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고 부모가 주는 사랑을 받아들이는 데에도 정서적으로 발달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유아기 때의 정서발달, 두뇌 발달이 12세 이전에 거의 성인 수준까지 두뇌가 발달한다고 합니다. 이 때 부모들이 사실은 아기들이 구체적으로 할 수 없는 시기이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할 것 같은데 부모들이 아기들을 훈육하고 키움에 있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방식으로 키워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영·유아기 교육 방법에 대해서 유튜브에 많이 나옵니다. 크게는 애정과 통제를 적절히 섞어서 해야 아이가 세상을 살아나가는 규칙에도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고 부모가 주는 사랑을 받아들이는 데에도 정서적으로 발달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유아기 때의 정서발달, 두뇌 발달이 12세 이전에 거의 성인 수준까지 두뇌가 발달한다고 합니다. 이 때 부모들이 사실은 아기들이 구체적으로 할 수 없는 시기이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할 것 같은데 부모들이 아기들을 훈육하고 키움에 있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방식으로 키워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민감한 부분일 수 있는데 태교가 아이를 갖기 전부터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지금은 관계하는 것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에 실제로 결혼한 부부가 아이를 가질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다양한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해서 생기는 아이와 실제로 정상적인 절차를 밟고 생기는 아이가 오는 인연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법공부를 하다 보니 결혼 공부도 3년 정도는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사자 간의 공부도 있을 것이고 집안 공부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결혼하는 사람들이 아이를 갖는 시기가 있을 것 같은데 그 부분을 좀 풀어주셨으면 합니다.
말씀해주실 때 태교가 수정되어서 100일까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실제로 임산부들이 임신 사실을 아는 경우가 초기보다는 100일이 거의 다 되었을 때가 되어야 본인의 임신 사실을 알거나 이상함을 느끼고 뭔가 확인해보기 위해 병원에 가서 그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임신하는 그 자체에도 준비가 필요한지... 계획하지 않으면 1일부터 100일까지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서 이 부분을 어떻게 하면 챙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00세 인생이라고 하는데 제가 생각했을 때는 100세 인생이 태아가 만들어지고 나서부터가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상 그래서 열 달 동안 어머니 배 속에 있는데 그 기간이 요즘에는 태교에 관련해서 제품도 프로그램도 많이 나오고 산모들의 관심도 굉장히 높아져 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하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어떻게 키우고 싶다는 방식으로 태교 프로그램을 선정하기도 하고 어떻게 할까 생각하기도 하는데 그런 것들이 실제로 태어났을 때 아이의 인생에 미치게 되는 영향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100세 인생이라고 하는데 제가 생각했을 때는 100세 인생이 태아가 만들어지고 나서부터가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상 그래서 열 달 동안 어머니 배 속에 있는데 그 기간이 요즘에는 태교에 관련해서 제품도 프로그램도 많이 나오고 산모들의 관심도 굉장히 높아져 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하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어떻게 키우고 싶다는 방식으로 태교 프로그램을 선정하기도 하고 어떻게 할까 생각하기도 하는데 그런 것들이 실제로 태어났을 때 아이의 인생에 미치게 되는 영향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