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강의

순차강의

최신강의

9999강 [100세 인생_70대 편] 인류가 큰 사람으로 거듭나는 길

9998강 [100세 인생_70대 편] 존엄사법

9997강 [100세 인생_70대 편] 죽음을 느끼는 방법

9996강 [100세 인생_70대 편] 노노(老老) 상속

9995강 [Well-being 100세] 자서전 쓰기

9994강 [Well-being 100세] 죽기 전, 온라인 콘텐츠 정리

강의 목록

매거진타입매거진타입 기본타입기본타입 갤러리타입갤러리타입
21세까지 대학 교육을 마치고 나서 다양한 방향으로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회로 바로 나가서 공부하거나 혹은 군대, 전문대학, 대학원 등 내가 21세 이후의 다음 방향을 설정할 때 어떤 기준으로 설정하고 좋을 것인지 또 그것을 할 때도 순서가 있을 것 같습니다. 군대를 다녀와서 사회를 간다든지 아니면 두 가지를 함께 할 수도 있을 것 같고 그런 부분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21세 이전에 교육이 될 부분입니다. 사회진출 후 개인적으로는 성인이 되는 나이입니다. 그러면 사회 시스템이 그렇게 갖춰져 있더라도 시스템 안에서 자신이 자발적으로 능동적으로 해나가야 할 부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처음 질문드렸던 것 중에 20대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사회진출 할 때 이것만은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대한민국에서 평균적으로 첫 직장을 가지게 되는 나이가 여자는 24세, 남자는 27세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학을 졸업하게 되는 나이와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남자는 대학 중간에 군대를 다녀와서 졸업을 하므로 여자보다 첫 직장을 조금 더 늦게 가지게 됩니다. 스승님께서 알려주신 10대 공부에서 새로 재편되는 교육과정에서 보면 지금의 연령보다 더 빠른 21~22살 정도에 사회로의 첫발을 내딛게 되므로 질문드립니다. 사회로 첫발을 내딛게 될 미래의 청춘들이 20대를 맞이해 꼭 해야 할 공부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 있다면 풀어주시길 바랍니다.
대한민국에서 평균적으로 첫 직장을 가지게 되는 나이가 여자는 24세, 남자는 27세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학을 졸업하게 되는 나이와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남자는 대학 중간에 군대를 다녀와서 졸업을 하므로 여자보다 첫 직장을 조금 더 늦게 가지게 됩니다. 스승님께서 알려주신 10대 공부에서 새로 재편되는 교육과정에서 보면 지금의 연령보다 더 빠른 21~22살 정도에 사회로의 첫발을 내딛게 되므로 질문드립니다. 사회로 첫발을 내딛게 될 미래의 청춘들이 20대를 맞이해 꼭 해야 할 공부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 있다면 풀어주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문명이 다가오는 만큼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디지털 기기를 언제쯤 접하는 것이 좋은지 또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것이 좋은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저희는 디지털 기기가 발전되는 시기에 자라면서 어릴 때 TV나 인터넷 매체, 만화책 등을 부모님의 통제를 받으면서 성장했던 기억이 납니다. 최근에는 주변의 육아 방침을 보면 부모가 놀아줄 수 없으니까 아이들에게 유튜브 채널을 보여주면서 "이것을 가지고 놀아라."라면서 핸드폰으로 보여줍니다. 그것을 보면서 어느 정도 절제가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어느 시기가 좋으며 앞으로 어떤 식으로 부모가 절제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청소년들은 사춘기를 겪으면서 이성에게 관심이 커지게 됩니다. 요즈음에는 이성 친구를 만나는 나이도 점점 어려져서 초등학생 때부터 이성 친구를 사귀기도 합니다. 청소년들은 이성 친구가 학업 스트레스에 지친 일상에 담비가 되기도 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사람 사이에 여러 경험과 감정을 배우며 성장하는 기회가 된다고 합니다. 반면 이성 교제가 학업에 지장을 주기도 하고 무절제한 스킨십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청소년기의 이성 교제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가르침 청합니다.
사춘기라고 하면 신체적, 정서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를 말합니다. 보통은 9살에서 16살 정도까지를 이야기합니다. 이 시기를 잘못 보내면 청소년 우울증이라고 하여 힘든 시기를 겪고 청소년 우울증이 더 심화하여 자존감이 떨어지거나 성인 우울증으로 발전하는 때도 매우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사춘기를 잘 보내야 할 것 같은데 아까 말씀하신 변화되는 체질 속에서 그런 것들이 자연스럽게 될 것인지 아니면 10대 때 중간에 들어있는 사춘기를 조금 더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를 유년기, 성년기, 과도기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시기에 대해서 청소년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이란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사람을 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보호법에는 청소년이란 만 19세 미만의 사람을 말한다고 하여 법률마다 청소년의 시기를 다르게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청소년들을 지칭할 때 13세에서 18세를 지칭하는 1318이라는 신조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청소년기의 기준이 다양한데 바른 기준을 어떻게 정하면 좋을지 가르침 청합니다.
체육계도 말씀해 주셨는데 예술적인 재능이 있는 친구들 같은 경우는 재주로 1등이 되면 높은 사람들도 만나는 기회가 주어진다고 하셨는데 이런 특별한 소질이 있는 사람들은 특별한 인성교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 사람들을 위한 학교의 커리큘럼 자체도 재능에 굉장히 집중되어 있는데 이것을 너무 강화하다 보니까 학생들이 힘들어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재능이 있고 재미있어서 하지만 어는 순간 '내가 이것을 왜 해야 하나? 언제까지 해야 하나?' 또 부모님의 압박도 있고 성적이나 콩쿠르를 나가는 부분에 대한 압박도 많은데 이런 학생들을 바르게 이끌 수 있도록 가르침 부탁합니다.
예체능 소질이 출중해서 예체능 특성화 고등학교에 가는 친구들 같은 경우는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본인의 소질을 계발하고 재능을 더욱더 강화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학교의 커리큘럼 자체도 일반적인 학교와는 굉장히 차이가 있습니다. 방금 말씀해주신 것처럼 베토벤이나 미켈란젤로 같은 음악가와 미술가 역시도 답답했듯이 이 친구들도 그런 쪽에 더 속할 것 같은데 이런 특성화 고등학교에 다니는 친구들은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 과목은 온라인으로 해서 공부를 하고 특화 교육 같은 소질이나 적성을 키우는 것은 학교에서 공부하라고 하셨는데 그 비중은 어떤 것을 더 많이 해야 하는 비중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청소년들이 꿈을 가지고 장래 희망 등을 설정할 때 꿈은 클수록 좋다, 포부는 커야 한다는 말씀을 하기도 하고 대학을 입학할 때 학과나 학교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나는 더 큰 일을 하고 싶어도 가정 형편에 맞춰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청소년들의 꿈이나 포부를 설정할 때 얼마만큼 크게 정해야 하는지 기준이나 잣대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제가 어렸을 때를 생각해보면 13살~14살 때 즈음 제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며 세계에 대한 가치관 이런 것들이 정립했던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그 시기에 제가 학교 다녔던 시절은 어떤 인성교육보다도 학교 성과 위주보다 성적 위주의 국·영·수가 중요시되던 시절이어서 인성교육이라고 해봐야 밥상머리에서의 예절교육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인성교육은 제가 영화나 소설을 통해서 배웠던 것 같습니다.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사람이 되어야겠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태어난 가정보다 대기업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승님 법문을 유튜브에서 들어보면서 대기업이 국민에 대한 교육으로 안하무인 후배들을 위해서 청소년기에 저같이 그 시기를 커나가고 있는 세대들에게 대기업이 어떤 교육을 해줄 수 있으면 좋을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10대에 걸쳐있는 부분이 학업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과과정에 들어갑니다. 대한민국은 초등 6년과 중등 3년을 의무교육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대부분 고등학교를 진학해서 나오는 실정입니다. 100세 인생에서 이 시기가 기본적 소양과 인성의 줄기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보이는데 초등 6년, 중등 3년, 고등 3년의 교육 기간을 바르게 보낼 방안에 대해서 풀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0대에 걸쳐있는 부분이 학업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과과정에 들어갑니다. 대한민국은 초등 6년과 중등 3년을 의무교육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대부분 고등학교를 진학해서 나오는 실정입니다. 100세 인생에서 이 시기가 기본적 소양과 인성의 줄기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보이는데 초등 6년, 중등 3년, 고등 3년의 교육 기간을 바르게 보낼 방안에 대해서 풀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